# 문화
문화는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공동체)이 공유하고 있는 삶의 양식이나 태도를 말합니다.
한국에는 한국 문화가 있고, 그 하부 문화로 다양한 공동체의 문화가 존재합니다.
같은 문화권에서 다른 문화에 따라 행동하게 되면, 이상하게 보거나 신기하게 봅니다. 왜? "우리"문화가 아니기 때문에!!!
#할로윈 문화
그런데 문화는 한 공동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사람들의 이동에 따라 문화도 따라 이동하면서 다른 공동체의 문화를 바꾸기도 합니다. 그 예로 지난 31일에 세계 여러나라에서 즐기는(?) 할로윈 축제를 들 수 있습니다.
원래는 유럽땅에 살던 고대 유목민족이었던 켈트족의 문화였습니다. 그들에게 삼하인(Samhain)이란 축제가 있었는데, 이들은 11월 부터 3월까지의 겨울기간동안 저승문이 열려서 이승을 돌아다니며 사람 속에 들어가서 온갖 고통을 준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귀신을 겁주기 위하여 순무 같은 걸로 사람 머리를 고작해서 그 안에 갈대 불을 밝혔습니다. 일종의 벽사문화(사악한 것을 피하려는 문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섭게 하면 귀신이 못 덤벼든다고 생각한 겁니다.
신라시대의 처용가면도 그와 같은 역할을 한 것입니다.
이 할로윈문화는 나중에 겔트족의 후손들이 미국으로 이민가면서 미국 땅에서 자신들의 문화를 퍼트리게 되었습니다. 순무를 구하기 어려우니 호박을 사용하게 되었고요.
# 질문
교통 통신이 발달할 수록 한 지역(나라, 민족, 공동체)의 문화가 급속하게 전파 됩니다. 고대켈트족의 문화가 거대한 미국문화로 편입되었고, 지금은 아메리카 대륙을 거쳐서 한국 땅에까지 들어왔습니다. 문제는 미국의 수많은 기독교인들조차 이 축제를 즐기고 있다는 것입니다.
과연 기독교인들은 이교도들에게서 유래된 문화를 누려도 될까요? 말까요?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